오늘 너무 충격적인 경험을 하고 왔다. 모 저널에서 동료평가를 요청한다기에 이를 수락했고, 마침 기일인 오늘에야 겨우 읽어보고 결정할 기회가 생겨서 논문을 읽기 시작했다.


일단 총설(review) 논문이라 길이가 긴 것은 둘째 치고, 중동의 한 국가에서 근무하는 연구원이 작성하여 투고한 논문인데 영어가 너무 술술 잘 읽히는 게 무척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지금까지 이 지역에서 작성된 논문을 읽다보면 아무리 내가 원어민은 아니더라도 숱한 오류가 잘못된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말이다. 어쩌면 나처럼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영어를 세심하게 다듬었겠구나, 뭐 그런 생각을 하면서 논문을 읽고 있었다. 하지만 논문 내용이 정보를 담고 있는 것 같기는 한데 굉장히 수박 겉핡기같기도 하거니와 비슷한 말이 반복되는 느낌도 들고, 장황하게 길기는 하되 뭔가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게다가 총설 논문에서 으레 볼 수 있는 그림 자료가 하나도 없어서 '이렇게 정보가 부실한 논문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뭐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저널의 논문 인용 표기 방식이 Chicago style이라서 문장이나 어구 뒤에 바로 괄호 치고 저자 이름과 출판연도가 나와 있기에 ㅡ 예를 들면 (Kim, 2018) 이런 식으로 ㅡ 슬쩍 보는데...... 어라? 그 페이지에 있는 모든 인용 문헌의 저자는 2명씩이고, 출판연도는 2023년, 2024년, 2025년, 심지어 2026년도 있었다?!?! 의심이 여기에 이르자 나는 읽던 것을 멈추고 논문 맨 마지막의 reference list부터 보았다. 여기에서 난 큰 충격을 먹을 수밖에 없었다. 모든 인용 문헌의 출판연도는 2023-2026년이었고, 모든 문헌의 저자는 약속이나 한 듯 2명씩이었다. 아니, 2026년에 출판된다는 미래 논문을 어떻게 저자가 인용하나? 심지어 이들 논문에는 권호수와 같은 서지 정보도 완벽하게 적혀 있었다. 아래처럼 말이다. 


Silva, R., & Costa, L. (2026). Bio-inspired catalysts for sustainable textile desizing. Textile Chemistry and Engineering, 11(3), 45–59. https://doi.org/10.1234/tce.2026.002 (Note: Hypothetical DOI; actual DOI unavailable) 


저런 제목의 논문은 검색도 불가능했고, 애초에 Textile Chemistry and Engineering이라는 저널도 존재하지 않았다. DOI 주소도 가짜였고, 우스운 건 그 뒤에 (참고: 가상 DOI임. 진짜 DOI 쓰일 수 없음) 이라는 말까지 붙어 있다는 것이었다.


이것을 보자마자 아주 명쾌한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ㅡ 이 논문은 인공지능(AI)에 의해 생성된 가짜 논문이다! 


그래서 최종결정을 rejection이라 하고, 분노의 감정을 최대한 삭인 채 1/3 페이지 정도의 리뷰 레포트(review report)를 써서 제출했다. 그런데 요즘은 리뷰 레포트 제출을 하면 그날까지 다른 리뷰어들이 남긴 최종결정과 리뷰 레포트를 열람할 수 있는데, 내가 기일에 레포트를 제출했으니, 그 전에 리뷰를 완료한 나머지 3명의 리뷰 레포트를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나는 더 큰 충격을 먹을수 밖에 없었다 ㅡ Minor revision 1 + Major revision 2 였던 것이다!!! 그리고 세 리뷰어 중 AI에 의한 논문 생성의 가능성을 지적한 이는 아무도 없었다. 심지어 어떤 리뷰어는 레포트 첫 문장이 'This article provides a good review on ~'였다. 내 참, 기가 막혀서. 그래서 나는 기어이 버튼을 눌러 이 논문의 동료 평가를 관장하는 편집장에게 이 논문이 절대로 게재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고 강하게 어필하는 메일을 보냈다. 


최근 KAIST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대학 연구진들이 투고한 컴퓨터과학 분야 논문 내용 중에 AI가 긍정적인 리뷰를 하게끔 유도하는 명령어를 삽입한 것이 밝혀지면서 큰 파장이 일었다 (AI 심사관에 "좋은 평가 줘"... 논문 속 감춘 '비밀 명령문'. 조선일보. 2025-07-01). 이 사건은 동료평가의 본질을 망각한 채 AI에 모든 것을 일임하면서 자신의 의무를 손쉽게 해결하려는 일부 과학자들의 몰지각한 태도와 그것을 간파하고 교묘한 술수로 이용해 먹으려고 했던 다른 과학자들의 추태를 동시에 드러낸 추악한 사건이었다. 나는 이전부터 수차례 현재 과학 출판업의 구조는 20세기에나 유효하지, 요즘같이 수많은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한 시대에는 걸맞지 않은 굉장히 낙후된 시스템임을 지적한 바 있었다. 자정과 혁신을 뒤로 한 채 과학 출판의 본질은 망각하고 영향 지수(impact factor) 장사와 오픈 액세스(open access)를 통한 수익 창출에만 목매달더니, 이제 과학 출판업은 위기에 직면하고야 말았다. 


그런데 과학 출판업 뿐인가? 거기에 많은 것을 외부조달(outsourcing)했던 우리 과학자 커뮤니티도 위기에 처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제 윤리와 탐구는 실종되어 간다. 논문을 왜 쓰는가? 연구를 왜 하는가? 왜 배워야 하는가?


왜 사는가?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