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에는 소위 내셔널 몰(National Mall)이라고 하는 행정 중심 구역 일부를 돌아보았다. 천도가 결정된 이후로 워싱턴 지역은 계획도시로서 발전하게 되었는데 그 중심이 바로 국회의사당 건물이었고 이후에 이 근처에 백악관, 국회도서관을 비롯하여 각종 박물관과 기념물, 그리고 대법원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아마 워싱턴에서 관광객으로 가장 붐비는 지역이고 아니나다를까 각양각색의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마주칠 수 있었다. 사진을 서로 찍어주면서 간단한 인사를 나누곤 하는데 덕분에 오랜만에 스페인어로 말할 수 있었다.


대의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으로서 제시된 삼권분립은 대부분의 민주공화국 정부 구성에 큰 영향을 끼쳤고 미국도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오늘 내가 돌아본 곳은 미국 입법부의 중심인 국회의사당(US Capitol), 그리고 미국 사법부의 최상급 법원에 해당하는 대법원(US Supreme Court)였다. 두 건물은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붙어 있는데, 둘다 굉장히 권위적인 형상을 지닌 거대한 대리석 건물이고 굉장히 고전적인 기둥들(미술 시간에 배웠을 법한 이오니아, 코린트 양식의 기둥들)이 열지어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미국 국회(Congress)는 한국의 국회(National Assembly)와는 다른 이원제(bicameralism)로 상원(upper house)의 역할을 하는 원로원(Senate)과 하원(lower house)의 역할을 하는 대의원(House of Representatives)이 있다. 잘 알려져있다시피 상원의원은 각 주에서 두 명씩 선출되어 주를 대표하고, 하원의원은 인구비례로 할당된 지역구를 대표하며 2년마다 선출된다. 단원제(unicameralism)인 대한민국에서는 상원의 존재가 굉장히 어색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미국과 같은 거대한 땅덩어리를 가진 나라에서는 나름대로 존재의 의의가 있으며, 단지 상징적인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치적 기능도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 상원 무용론이 심심치않게 등장하는 일본의 참의원이나 영국의 귀족원(House of Lords)과는 굉장히 구별되는 독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형태의 이원제 입법부를 구상하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소위 위대한 타협이라고도 불리는 코네티컷 타협(Conneticut Compromise)인데 국회의사당 소개에서도 이와 관련된 인물들의 소개가 빠지지 않았다.


국회 소개 과정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끊임없이 '서로 다른 의견, 그럼에도 우리는 하나다.'를 강조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미국의 국가이념이라고도 할 수 있는 'E pluribus unum'은 '다수로부터 하나(out of many, one)'이라는 뜻인데, 광대한 영토와 서로 다른 기질을 가진 다양한 사람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거대한 합중국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미국 입법부의 역할은 굉장히 거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한 면에서 미국 국회는 다양성(diversity)와 애국심(patriotism)을 (강박적으로) 강조하는 미국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국회 관계자들도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국회 내부의 각종 동상과 석상, 그리고 부조 및 그림들은 미국의 성립 초기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귀중한 유산들이었다. 물론 미국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면 굉장히 지루한 투어 시간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미국의 역사와 정치에 약간의 관심이 있는 내게는 개인적으로 무척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미국 대법원 견학은 더 흥미로웠다. 미국 대법원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한국의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Constitutional Court)가 되겠다. 최근 한국에서는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헌법재판소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졌고, 그 전에 미국에서는 대법원이 동성결혼에 대한 합헌 결정을 내리면서 굉장한 이슈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사법부가 우리 일상과 동떨어진 사건만을 다루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극명한 예시라고도 할 수 있는데, 미국의 대법원은 한국의 대법원과 약간 다른 점들이 있었다.


가장 큰 차이점은 9명의 대법원 재판관(justice)들의 임기가 종신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재판관이 탄핵되거나 ㅡ 그런데 큐레이터에게 물어보니 지금까지 실질적으로 탄핵과 같은 불명예로 관복을 벗은 사람이 세 명이라고 한다. ㅡ 건강 혹은 개인적인 사유로 사임하지 않는 이상 재판관은 죽을 때까지 사명을 다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지미 카터(Jimmy Carter) 전 대통령은 최근 재임 대통령 중 임기 중에 대법원 재판관을 지명하지 못한(?) 유일한 대통령이라고 한다. 현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는 올해 이미 한 명의 재판관을 지명한 바가 있다. 이는 임기가 정해져 있어 주기적으로 새롭게 헌법재판관을 천거해야 하는 대한민국과는 다른 점이다. 게다가 한국에서는 3명은 대통령, 다른 3명은 여당, 그리고 나머지 3명은 야당의 몫이며 이로 인해 중요한 심리가 진행될 때에는  재판관들의 정치적 성향이 항상 도마에 오르곤 한다. 미국도 이런 면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할 수 있겠지만 종신 임기인 이상 이러한 정치적 성향에 좌우되는 문제는 다소 적다고 할 수 있겠다.


투어 중에 대법원 재판소의 방청석에 직접 앉아 대법원의 역사와 대법원 건물의 이모저모를 소개받았는데, 재판소 내부는 굉장히 독특한 분위기였다. 외부는 굉장히 밝은 대리석을 사용했지만 내부는 비교적 어둡고 차분한, 그러나 세련되게 화려한 대리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단 벽 사면에 아로새겨진 부조는 아주 흥미로웠는데, 특히 양 옆쪽에는 함무라비, 솔론, 유스티니아노스, 나폴레옹과 같이 역사상 법 체계의 정비에 크게 기여한 사람들 여럿을 새겨놓았다. 희한하게도 재판소 내부에서는 전자기기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어서 기자들도 수기로 재판 내용을 적고, 사진사들은 직접 내부에서 스케치를 하여 그림을 그려 기록을 남긴다고 했다.


대법원과 관련된 영상을 1층에 설치된 작은 감상실에서 약 20분간 시청할 수 있었는데 대법원 건물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대법원 재판관들이 어떤 소신으로 어떻게 격무에 시달리는지(?), 그리고 미국 사법부의 위상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런데 한 가지 굉장히 신기했던 것이, 이 대법원 건물을 세우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사람이 미국의 대통령이자 대법원장으로 재임했던 윌리엄 태프트(William Taft)였다는 점. 이 사람이 왜 중요한가 하면, 이 사람이 육군 장관으로 재직당시 일본의 총리인 가쓰라 다로와의 비밀 대화, 즉 소위 가쓰라-태프트 밀약(Taft-Katsura Secret Agreement)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이 밀약에 따라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제국의 지배권이 미국으로부터 암묵적으로 승인되었고, 이를 통해 미국은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을 일본제국으로부터 확인받았다. 일본제국은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뒤에 이 밀약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견제받을 수 있을만한 가상 세력을 사실상 모두 배제시켜 버렸고, 그 결과 그 해에 체결된 조약이 바로 을사늑약이다. 이야기가 딴 데로 샜는데, 아무튼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 대법원 견학이었다. 첨언하여, 사법부는 법을 해석(interpretation)하는 정부의 갈래라고 말한 큐레이터의 설명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후에 미국 국립미술박물관(National Gallery of Art)에 방문해서 르네상스 이후의 유럽 미술 및 미국 화가들의 미술품을 천천히 감상했다. 감상에 거의 3시간을 할애했는데 특별히 울트라마린(Ultramarine)에 미쳐 다양한 여성들의 그림에 파란 물감을 즐겨 쓰다가 파산했다고도 알려진 유명한 플랑드르 화가인 페르메이르(Vermeer) 특별 전시회가 열리고 있어서 매우 즐겁게 미술품들을 감상할 수 있었다. 특히 빨간 모자를 쓴 여인의 그림이 굉장히 인상적이어서 그 옆에서 같은 표정을 지은 채로 사진을 찍었다.


서양화는 일종의 '그림으로 표현한 화가의 이야기'나 다름없어서 이 그림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흔히 착각하는 게 서양화는 있는 그대로 잘 그려낸 것이라고 하는데 실상은 다르다. 서양화의 대부분은 실제 모델을 판박이처럼 옮겨낸 것이 아니라 화가가 상상으로 그려낸 것이며 그 때문에 '도대체 이런 게 왜 뜬금없이 여기에 그려져 있지?' 싶은 것들을 잘 읽어내야 한다. 예를 들면 십자가에 달린 예수 밑에 덩그러니 놓여진 해골, 시도때도 없이 등장하는 개, 여인이 들고 있는 종려나무 가지같은 것들 말이다. 각각이 죽음, 신의, 믿음을 상징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볼 때와 모르고 볼 때는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기독교 내용을 기초로 한 서양화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성경이나 성인의 삶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서양화를 그대로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겠다. 왜 성 게오르기우스는 용을 때려 잡을까? 이런 것들 말이다. 따라서 서양미술 교육은 이런 쪽에서 좀 접근하는 게 좋지 않을까 싶다. 후기인상주의니 입체파니 다다이즘이니 이런 것들을 주루룩 나열해서 암기 과목으로 만들지 말고 말이다.


숙소에 돌아와서 잠시 쉰 뒤 케네디 센터(Kennedy Center)에 가서 뮤지컬 '파리의 미국인(An American in Paris)'를 보았다. 정말 재미있었다. 미국이 자랑하는 음악가인 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의 음악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뮤지컬은 '라라랜드(La La Land)가 이걸 모티브로 삼았구나' 싶을 정도로 굉장히 전형적이면서 말도 안 되는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프랑스와 미국에 대한 선입견이 귀엽게 잘 녹아든 이 뮤지컬은 거슈윈의 음악을 바탕으로 한 섬세하고도 아름다운 발레 무용 동작이 압권이라고 할 수 있다. 주연 배우들의 열연이 굉장히 인상적이었고, 아날로그적인 무대 배경 및 소품 변경이 무척 흥미로웠다.


오늘 하루도 이렇게 무사히 즐겁게 잘 지나갔다. 내일 일정은 일부러 확정하지 않았는데, 기대하지 않았던 것들로부터 또 어떤 즐거운 일들이 있을지 사뭇 기대된다! 아름다운 기억들이 쌓이는 배움의 시간이 되길 바라면서...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