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14년부터 논의가 되던 원격의료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조짐이라고 한다. 당시에는 도서산간 지역에서 제대로 된 의료 행위를 받기 어려운 사람들이 혜택의 대상으로 설정되었지만, 요즘 논의되기 시작할 원격의료 이야기는 서울 도심 한복판에 살지만 병원에 직접 가지 않고도 진단을 받고 싶어하는 사람들까지 모두 대상으로 포함하는, 그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원격의료 행위라는 점에서 규모와 파급효과가 더욱 크다. 여전히 반발은 많고 문제점은 많으나, 비대면이 대세가 된 AC (after Coronavirus) 시대에 원격의료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비록 6년 전에는 별 관심 없었던 사람들일지라도 이제는 180도 달라지지 않았을까? 그리고 원격의료 말고도, 과거에는 너무 때이르거나 급진적이라고 생각했던 수많은 법안들이나 행동양식들이 이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시급하거나 꼭 알맞는 것들로 여겨질 것들이 여럿 있을 것이다. 당장 코로나19로 인해 시행된 온라인 개학과 원격 수업은 내가 고등학교 3학년일 때 'EBS로 수능을 출제하겠다.'는 선언보다 훨씬 더 파급력이 크고 교육의 근간을 뒤흔든 일이었지만, 그게 이렇게 삽시간에(?) 가능한 일이 되리라고는 그 누구도 생각 못했을 것이다. 이젠 아무렇지도 않잖아?


이제 비대면으로 못할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는 것이 더 빠를 것 같다. 가장 전통적인 행동들인 관혼상제같은 거? 그런데 그런 것에도 점점 비대면이 침투할 여지가 보인다.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