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전혀 다른 곳으로부터 전혀 다른 소식이 들려왔지만 '국가막장테크'라는 측면에서는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고 볼 수 있겠다. 하나는 내부 분열에 따른, 그리고 다른 하나는 자연 재해로 인한 국가 통치 능력 상실.


두 나라 모두 미국과 서방 세계의 원조 하에서 자신들의 역량을 다시 일으킬 시간이 있었다. 그게 충분했는지 아닌지는 역사가 판단할 일이지만 적어도 이렇게 허무하게 모든 것이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이 쉽게 이해될 정도로 짧지는 않았다고 확신한다. 레바논의 수도를 한 순간에 망가뜨린 대폭발처럼 전혀 예기치 않았던 사고가 아닌 이상, 아프가니스탄과 아이티가 2021년 마주한 상황은 어찌 보면 충분히 대항을 꿈꿔볼 수도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ㅡ 즉, 무력하게 이렇게 손을 놓는 수준까지는 아니었을 것이다.


첨언하여,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급변한 태도는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부가 2001년 미국의 공습 이전과는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국가를 통치할 것이라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사실 미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한 이유 중 가장 중심에 있는 것은 오사마 빈 라덴이었기 때문에, 그가 사살되어 축출된 이상, 아프가니스탄이 미국에 중대한 전략적 이점을 제공해주지 않을 바에야 시간과 돈, 그리고 귀중한 인명을 갈아넣으면서까지 그 지역을 점유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탈레반 세력이 이전처럼 미국의 신경을 직접적으로 건드리지 않는다면, 그리고 오히려 아프가니스탄의 보수적 이슬람주의자들의 책동을 통해 중국 서부 지역에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면, 미국 입장에서는 손 안대고 코 푸는 격이니 어쩌면 그게 더 바랄 만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이 모든 상황은 새 탈레반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의 권리를 심각하게 짓밟지 않는다는 전제조건 하에서 해석 가능할 것이다. 그래도 지금 탈레반의 성격은 과거의 '극단주의 무슬림'과는 달리 '현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반군'의 느낌이 더 물씬 풍겨지므로 90년대 말의 답없던 시절과는 분명 다르겠지만, 정말 어떤 식으로 권력을 사용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부디 그곳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베트남에 이어 아프가니스탄까지, 미국이 제대로 점령한 국가를 재건하지 못하면 발을 빼는 즉시 반대편이 꿀꺽 집어삼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런 점에서 주한미군(駐韓美軍)의 존재 의의가 부각되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 대한민국은 베트남이나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실패한 국가가 아니므로 주한미군의 철수가 이들 국가가 겪은 급변을 야기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구태여 그런 도박을 감행할 필요도 없는 것이 당연한 사실이다. 주한미군의 존재로 인해 이득을 보는 쪽은 사실 대한민국이라는 점을 상기해보면, 주한미군의 한반도 주둔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나눌 수 있는 이점을 지속적으로 호소하고 드러내는 것이 좋지 않을까?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