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보칠 좀 사려고 하는데요."


L마트의 약사는 이 말을 듣자마자 안으로 들어가서 뭔가를 꺼내온다. 어라, 그런데 약 상자가 두 개다.


"여기, 알보칠이 있는데요." 약사는 청산유수(靑山流水)와 같이 말을 잇는다. "이게 사실 일제(日製)예요." 고민할 틈도 주지 않으면서 다른 약상자를 들이밀며 덧붙이는 말씀: "여기 이 약은 국산이거든요? 가격도 더 저렴하고요. 한 번 보세요."


뭐라 할 말을 잃은 나는 물끄러미 약의 유효성분을 확인해 보았다. 알보칠 ㅡ 1 g 중 폴리크레줄렌이 360 mg. 페리터치 ㅡ 1 g 중 폴리크레줄렌이 360 mg. 벤젠설폰산(benzenesulfonic acid) 계열의 화합물이 중합되어 있는 형태의 폴리크레줄렌이 구내염(口內炎)을 치료하는 이 약의 핵심적인, 그리고 유일한 약 성분이라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다. 게다가 나는 구내염을 치료하는 방식이 다름아닌 '염증 부분을 강한 산성 용액으로 지져버리는(!)' 것이므로 분자량이나 중합 형태에 차이가 있다 한들 약효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품명만 다른 두 약병에 들어있는 용액은 농도가 동일하니 약효는 동일하다는 것이 나의 결론. 그러니 가격이 더 싸면서도 약효가 동일한 복제약을 구매하는 것이 21세기를 사는 호모 에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로서 당연한 선택이다.


그런데 약사는 왜 알보칠은 일제고, 페리터치는 국산이라고 굳이 앞서 얘기했던 걸까? 물론 이 약사에겐 알보칠 대신 페리터치를 소개하고 팔아야 할 (제조자로서가 아닌 판매자로서) 약사의 의무가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냥 2~3천원 더 싸다고 얘기하면 으레 알아들었을 사항일진대 때지난 애국 프로파간다인 일본 불매 운동을 운운하다니, 찰나의 순간이지만 나로서는 좀 어이가 없었다.


마침 알보칠만 사려던 것은 아니었기에, 기왕 예상보다 싼 가격에 폴리크레줄랜 용액을 구매한 김에 남는 돈으로 내가 즐겨 찾아 쓰는 구내염 치료제인 '아프타치'도 한 통 같이 달라고 (일부러) 요청했다. 순간 약사의 표정에서 살짝 민망한 티가 배어나온다.


"아프타치는 알보칠이랑은 구내염 치료 방식이 달라서 말이죠."


아까와는 달리 수줍게 약사는 말을 잇는다.


"이건 연고같이 안에 직접 붙여서 쓰는 거라 완전 다른 건데."


나는 재빨리 답한다.


"아, 제가 둘 다 즐겨 써서요. 구내염 크기가 크지 않을 때는 아프타치 쓰면 편하더라구요. 이렇게 주세요."


"네. 10,500원입니다."


결제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아프타치 상자 옆면을 슬쩍 살펴 확인해 보았다. 그럼 그렇지. 아프타치는 일본의 테이진 파마(帝人ファーマ) 주식회사에 제조한 제품으로, 국내에서는 (주)동화약품이 수입해서 판매하고 있다. 집에 와서 확인해보니 알보칠은 일본 최대의 제약회사인 다케다(武田)약품공업주식회사의 독일 자회사(Takeda GmBH)에서 제조한 뒤 한국 자회사인 (주)한국다케다제약에서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렇다면 약사는 이 거대한 다국적기업들의 경제 및 산업 생태계를 도대체 알고나 말하는 것이었을까? 어떤 것이 일본산인가요? Takeda GmBH는 일본회사인가요? (주)한국다케다제약은요? (주)동화약품은 매국 기업인가요? 아프타치는 일제라고 말씀 안 하시네? 그럼 국산 약의 정의는 대체 무엇인가요? 나나 당신이나 국산이든 외국산이든 효능 좋고 가격도 적절한 약을 사고 팔아야 서로 좋은 이 경제 시스템에 사는 것은 매한가지인데, 도대체 누구 앞에서 약을 파시는지? 그래, 내가 동네 약사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했을는지도 모르겠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단순한 이야기에 공감했을 지 생각해보면 뭔가 아찔하다.


너무 선비같은 태도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비천한 집안이라서 주변에 뒤지면 더러운 게 많이 나온다는 어떤 이의 (아무)말에도 공감어린 시선을 보내는 사람이 이토록 많은 걸 보면 오지랖 넘게 넘겨짚는 과민반응도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