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필사는 거의 이십몇 년만에 진행하는 것 같다. 국민학교 3학년 때였나, 개역한글 성경의 복음서를 필사하는 것이 유년부 학생들에게 과제처럼 주어진 적이 있었다. 그게 달란트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여름성경학교 수행 목표였는지는 기억이 잘 나지 않지만, 노란색 불투명한 붙임쪽지를 붙여가며 복음서를 옮겨적었던 기억이 난다. 이것이 복음서였던 것을 아직도 정확하게 기억하는 이유는 '신들메'라는 단어를 쓰면서 이게 무엇인가 궁금해 했던 기억이 뇌리에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세례요한이 예수의 공생애 이전에 회개를 외치면서 자기 뒤에 올 이의 신발끈이라도 고쳐 메 주기 부족할 거라고 했으며, 신들메는 이 신발끈을 의미한다..


2019년 사순절을 맞아서 우리 안양교회에서 진행하는 성경 필사는 바로 창세기를 하루 한 장씩 쓰는 것이다. 고백하건대 창세기를 가장 자주 읽어왔으나 ㅡ 수학 공부할 때 집합을 가장 자주 들여다 본 이유와 흡사하달까? ㅡ 직접 손으로 써 본적은 전무했다. 게다가 성공회로 교단을 옮기면서 새로 보기 시작한 성경은 공동번역성서이므로 글투도 굉장히 달라지지 않았는가? 사실상 새로운 책 한 권을 옮겨적는 것이나 다름 없었다.


원래 성경 필사에는 별 뜻이 없었지만, 청년회장으로서, 그리고 사순절에 뭔가 기억에 남는 것을 해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자진해서 성경 필사를 감행(?)하게 되었다. 그런데 오랜만에 펜을 들고 긴 글을 종이 위에 쓰다보니 손가락 마디마디가 저릿한 것이 옛날에는 어떻게 그렇게 쉼없이 연필을 휘갈기며 긴 글을 써내려갔는지 신비스러울 따름이다. 학부 시절에 매일같이 여러장의 예습노트를 작성하던 그 근성은 또 어디로 갔단 말인가! 아니, 라틴 글자로 쓰는 게 오히려 더 쉬웠던 게 아닐까? 라틴 문자와는 달리 한글은 글자 한 자 한 자를 쓸때마다 심미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다보이 손에 공이 더 들어가고 힘을 줄 수밖에 없고.. 그러다보면 손이 피로해지고ㅡ. 또 아버지가 내 글씨를 보면 "제발 글씨 좀 '사살' 써라" 라고 핀잔을 주시겠지 아이고.


한 자 한 자 옮겨적다보면서, "아 옛날 개역한글 혹은 개역개정판본은 이렇게 쓰여있었는데..." 하는 말을 맘속으로 웅얼거리곤 했다. 공동번역성서는 읽고 이해하기에 부담이 없는 글투인 것을 어느 누구도 부정하지 않으리라. 그 덕에 이십몇 년 전과는 달리 이제는 단어와 문장 자체의 의미를 몰라 기계적으로 복사를 하는 수준은 넘어섰다. 이제는 그 글에 담긴 속뜻과 성령의 조명을 더 구할 뿐.


매일 한 장씩 쓰는 것이 목표지만, 성경 필사를 조금 늦게 시작한데다가 앞으로 학회 및 워크샵 일정들이 있어서 분발하지 않으면 주어진 시간 내에 창세기 필사를 완료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어느 날 어느 시까지 필사를 완료해야만 한다는 그런 '성경적 사명'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지망, 그래도 교회에서 개인 신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이런 과제를 함께 수행하자고 제안한 것인만큼, 기한 내에 필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