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소개
Introduction of the website
fluorF 소개
Introduction of fluorF
새로운 소식
News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글
Articles
사진첩
Album
방명록
Guestbook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연도별 책갈피
today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차를 타고 완주로 내려가는 길이었다. 차량 시스템에 연동된 휴대폰 내비게이션 앱인 '카카오내비'를 실행했는데, 이전과는 달라진 점 하나를 발견했다. 이전까지는 도착지점을 설정하고 길찾기를 실행하면 화면 좌측에 예상되는 도착 시각이 나왔지만, 이제는 예상되는 소요 시간이 뜨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지금이 오후 9시라고 했을 때, 예전에는 "오후 9:34 도착" 정도로 나왔던 정보가 이제는 "34분 소요"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처음엔 왜 이렇게 바뀐 거지 궁금해 했다. 그러다가 고속도로로 진입해서 차를 조금 몰다보니 느낀 바 있어 나도 모르게 '아!'하고 탄성을 지를 수밖에 없었다.
예전 초등학생 시절 풀었던 문제집 ― 정확히 그게 어떤 문제집이었는지는 모른다. ― '쉬어가기' 코너에 이런 글이 있었다. 지하철 이용권을 판매할 때 '1,000원 할인'이라고 내걸고 9,000원에 10,000원짜리 이용권을 판매하는 것과 '1,000원 보너스 이용'이라고 내결고 10,000원짜리 이용권에 실제로는 11,000원을 충전시켜 놓은 것을 판매하는 것 중 어떤 것이 더 좋은 판매 전략일까, 뭐 이런 질문이었다. 정답은 후자였다. 처음에는 '아니? 구매자는 똑같이 1,000원 이득을 보게 하는 것인데 어째서 후자가 더 좋다는 거지?' 싶었는데, 시간이 흐르고 나서 그 이유를 잘 알게 되었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자에게 동일한 이득을 보게 하면서도 1,000원씩 더 판매액을 올리는 것이니 전자보다는 후자가 이득이라는 것이다. 즉, 표면적으로는 같은 말이라 할지라도 표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특정한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더라는 것을 이 예시는 분명히 이야기해 주고 있다.
아직까지 어떤 이유로 '카카오내비'의 설정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설명해주는 게시물을 읽어본 적이 없다. 하지만 나 나름대로는 이렇게 생각을 했다. 이것은 운전자들의 과속(過速) 욕구를 미연에 방지하는 어떤 효과를 노린 것이라고.
예를 들어 현재 시각 오후 9시, 내가 평균적으로 80 km/h 로 달리면서 타고 현 지점에서 80 km 떨어진 어떤 도시로 간다고 치자. 이전처럼 좌측에 도착 예정 시간이 뜬다면, 거기에는 "오후 10:00 도착"이라고 뜰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가속기를 좀 더 밟아 차량을 빠르게 몰면, 좀 더 빠르게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조금 과속을 해서 100 km/h 로 달린다고 하자. 그러면 좌측에 뜨는 정보는 "오후 9:48 도착"으로 도착 예정 시간이 조금 앞당겨질 것이다. 어라? 도착 예정 시간이 단축되었네? 더 빨리 달려보자! 더 과속에서 120 km/h로 달린다. 그렇게 되면 이제 "오후 9:40 도착"으로 바뀌게 된다! 야호! 빨리 도착한다! 즉, 도착 예정 시간을 정보로 띄워주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를 앞당기기 위해 ― 애석하게도 안전 속도를 준수하며 운전하려는 욕구보다는 빨리 운전을 끝내고픈 욕구가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 과속이 유도된다는 것이다. 유도된 과속은 실제로 단축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더욱 과속의 욕구를 증폭시킨다. 흔히 내비게이션에서 9시에 도착한다면 실제로는 8시 50분에는 도착하겠네, 이런 말들을 하는 게 괜한 말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소요 시간을 표기하게 되면 얘기가 달라진다. 소요 예정 시간은 차량이 움직이기만 한다면 일정하게 감소하게 된다. 우리가 차를 빨리 몰면 소요 예정 시간은 다소 줄겠지만, 이것이 내가 운전하는 데 들인 시간으로 인해 감소된 분량이 적용된 것인지, 혹은 실제로 빨리 달리기 때문에 소요 예정 시간이 줄었는지 알 길이 없다. 물론, 가만히 자리에 앉아서 현재 운전한 시간과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방정식을 세워 풀면 답을 얻을 수 있기는 하다. 문제는 운전자는 그런 연산을 진행할 여유가 없다는 데 있다. 어떤 운전자는 소요 예정 시간을 현재 시각에 더함으로써 이전의 '도착 예정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이전과 같은 사고를 유지할 수 있을는지도 모르겠지만, 단언컨대 이 또한 결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운전자는 생각보다 머릿속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가 과속을 통해 단축되는 도착 예정 시각을 체감하기 어려워지는 것이고, 결과적으로는 과속에 대한 욕구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이다. 물론 과속이 생활화된 사람들은 이런 것 전혀 신경쓰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나는 당장 이 변화로 인해 가속 페달을 밟아야 한다는 어떤 강박적 욕구가 사라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덕분에 연비도 20 km/h를 찍고...
아무튼 작은 표현의 변화가 큰 행동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었다. 우리가 끊임 없이 상대방의 수용과 반응을 생각하며 말해야 한다는 어떤 당위성을 경험했다고나 할까나.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
그 남은 시간을 터치해보면 충격적인 결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