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의 표기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바뀐다.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도요또미 히데요시'를 거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되듯이, '서반아(西班牙)'가 '에스빠냐'냐 '스페인'이냐 논란을 거친 끝에 '스페인'이 되듯이, '뉴우요오크(New York)'가 '뉴욕'이 되듯이, '호이겐스(Huygens)'와 '반데르발스(Van der Waals)'가 각각 '하위헌스'와 '판데르발스'로 되듯이 말이다. 이런 흐름에 맞춰 대한화학회에서 기존의 화학명명법을 개정한 것이 무려 20여년 전이었다. 덕분에 게르마늄(germanium)은 '저마늄'이,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은 '다이클로로메테인'이 되었다. 하지만 언중의 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상용되는 단어에 대한 명명법 개정은 크게 빛을 보지 못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내가 사랑하는) 화학원소 F에 대한 것이다. 이 원소는 독일에서 '플루오르(fluor)'라고 불리던 것이었는데, 일본에서 화학용어를 받아들일 때 앞자인 '플'에 해당하는 것을 '훗(フッ, 弗)'으로 음차한 뒤 뒤에 원소라는 의미의 소(素)를 붙여 '훗소(フッ素, 弗素)'로 명명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나라로 전해지면서 한국 한자음으로 읽히면서 '불소'가 되었다. 시간이 흘러 일본에서 들여온 단어들을 순화하자는 움직임 가운데 '불소'는 그 표적 중 하나였고, 그로 인해 독일어 이름인 '플루오르'가 권장되는 이름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하지만 새 시대의 흐름은 모든 용어를 영어 기반으로 읽는 것을 강요하다시피 하였고, 그 결과 독일에서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들여온 상당수의 화학원소 이름들이 새천년을 전후해서 영어식으로 고쳐졌다. 티탄(Titan), 셀렌(Selen), 니오브(Niob), 그리고 요오드(Jod), 나트륨(Natrium)과 칼륨(Kalium)이 타이타늄(Titanium), 셀레늄(Selenium), 나이오븀(Niobium), 그리고 아이오딘(Iodine), 소듐(Sodium)과 포타슘(Potassium)으로 바뀌었다. 문제는 널리 쓰이던 원소들의 이름들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과 고집은 쉬이 꺾을 수 없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은 일일 '나트륨' 권장량에 대해 논할 때 자연스럽게 소금을 떠올리겠만, 만일 누군가가 일일 '소듐' 섭취에 대해 얘기한다면 그게 무엇인가, 먹는 건가, 이럴 것이다.


플루오르도 마찬가지였다. 영어식으로 바뀐 명명법에 따라 이 원소는 이제 '플루오린(fluorine)'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F를 플루오린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소수의 화학 관련 전공자 빼고는 없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이를 '불소'나 '플루오르'라고 부르고 있으며 치약 튜브 뒷면의 성분표시에는 언제나 '제일불화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나트륨' 등의 표기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해당 물질들을 현재 새 명명법으로 부르면 '모노플루오로인산 소듐', '플루오린화 소듐' 정도가 될 것이다.)


요즘 때아닌 정치외교적 이슈로 뉴스에서 플루오린의 이명(異名)들이 TV를 장식하고 있다. 예전부터 F라고 하면 '치약!'만 나오던 것이 지난 플루오린화수소산(=불산) 폭발 사건으로 인해 '치명적인 약품'으로 조명받은 데 이어 이제는 반도체 공정에도 쓰이는 주요한 약품이라는 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플루오린화수소산의 가장 큰 시장은 미국이며 중국이 굉장히 많은 양의 플루오린화수소산을 생산하여 판매하지만, 우리나라 반도체 공업에서 쓰는 초고순도 플루오린화수소산은 대부분 일본에서 구매한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당장 일본의 모리타(森田)라는 회사가 최초로 플루오린화수소산을 생산한 것이 지금으로부터 102년전인 1917년이며 지금까지 다양한 플루오린화 화합물을 생산하고 있으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이 동네를 따라잡을 만한 노하우와 품질을 자랑할 회사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온갖 기기묘묘하고 정교한 반도체도 거뜬하게 만들어내는 나라가 수소와 플루오린이 하나의 단일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는 간단한 분자인 플루오린화수소산(HF)을 왜 못 만들어내냐고 화학자들에게 따지듯 물어볼 수 있겠지만, 그렇게 치면 미세먼지 잡는 성능 좋은 마스크를 사려고 할 때면 국산 제품 다 제쳐두고 죄다 3M 제품만 찾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는 것을 돌아보자. 언뜻 보기에는 우리도 간단히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은 화학 제품들을 '잘' 만드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모두가 알아야 할 것이다. 기왕 상황이 이렇게 되었으니, 산-학-연이 합심해서 비록 논문은 되지 않고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나올만한 일들이 결코 아닌 이런 기본적인 일들에 좀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이 어떨까? 롯데월드타워를 몇 개 짓는 기술보다 튼튼하고 망가지지 않는 못과 나사를 생산하는 기술이 사실 더 의미있고 중요한 것 아닐까?


그나저나 플루오린화수소산이라고 계속 쓰니까 너무 귀찮다.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