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교회 대분열
History of Schism between the East and West Churches
서문
Preface
취지
- 본 연재는 초대 교회로부터 현대 기독교 세계의 큰 축인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어떻게 성립되었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 본질적으로 두 교회는 동일한 삼위일체의 하느님과 참 신이자 참 인간인 예수 그리스도가 이 땅에 강생하여 인류를 위해 죽임 당하고 사흘 만에 부활했다는 교리를 진리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핵심 요체가 같은 이상 두 교회는 서로 다른 종교가 아니라 할 수 있다.
- 그럼에도 '대분열'이라는 제하의 글들은, 동서 교회가 갈라지게 된 것이 핵심 교리보다는 주변 교리 혹은 전통에, 그리고 종교보다는 그를 둘러싼 정치 및 사회 환경이 강하게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역설적으로 지난 2,000년간 서서히 진행되어 온 분열의 치유가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함의한다고도 볼 수 있다.
- 요한복음 17장 11절(개역개정판)에 '거룩하신 아버지여 내게 주신 아버지의 이름으로 그들을 보전하사 우리와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라는 구절이 있다. 아무쪼록 분열의 역사를 되짚어보면서 과연 무엇이 부족했었는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떻게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는 로마 가톨릭 신자와 동방 정교회 신자, 그리고 개신교도 모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명칭에 관한 문제
- 본 연재에서 기독교가 믿는 삼위일체의 신을 '하느님'으로 표기하였다. 비록 일부 개신교에서는 '하나님'으로 표기하는 것을 주장하지만 1) '하느님' 표기에 맞춤법상 문제가 없고, 2) '하나님' 역시 '하느님'의 방언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3) 로마 가톨릭 교회 및 동방 정교회에서 신을 이를 때 공히 쓰는 말이므로 '하느님' 표기를 채택한다.
- 로마 가톨릭 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 정식 명칭이지만 상황에 따라 서방 교회(Western Church), 가톨릭 교회(Catholic Church)로 표기하였다.
- 또한 동방 정교회(Eastern Orthodox Church)는 편의상 동방 교회(Eastern Church), 정교회(Orthodox Church)로 표기된 부분이 존재한다.
외국어 표기에 관한 문제
- 그리스 어휘
- 그리스어로 표기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로마 제국 시기 라틴 문화권이 아닌 지역의 인명 및 지명, 비잔티움 제국과 관련된 동방 인명 및 지명, 오스만 제국 내 세계총대주교 인명, 그리스 정교회와 관련된 인명 및 지명
- 특히 비잔티움 제국은 7세기에 이라클리오스 황제의 개혁 때부터 비로소 그리스어를 모든 제국의 공용어로 채택하였으므로 그 이전에는 공식적으로는 라틴어를 사용하였지만, 혼동을 피하고 일관성을 갖추기 위해 이들 인명과 지명 역시 모두 고대 그리스어로 표시하였다.
- 기원후 600년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 시대는 고대 그리스어 발음을, 그 이후 시대는 현대 그리스어 발음을 표기에 적용하였다. 자세한 것은 국립국어원의 현대 그리스어 표기 시안을 참조
- 그리스 문자 표기는 민중 그리스어인 디모티키(δημοτική)를 기본으로 하였다.
- 예) 프로테리오스(Προτέριος), 유스티니아노스 1세(Ιουστινιανός Α΄), 니카이아(Νἰκαια) - 600년 이전, 니케아(Νἰκαια) - 600년 이후, 예르마노스 2세(Γερμανός Β΄, 1223-1240)
- 라틴 어휘
- 라틴어로 표기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로마 가톨릭 교황의 이름, 로마 제국 시기 라틴 문화권에서 활동한 교부들의 인명
- 로마 가톨릭 교황의 경우 한국 천주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을 적용하였다.
- 성경에 등장하는 몇몇 주요 인물들은 한글 성경에 맞추어 표기하였다.
- 예)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us), 심플리치오(Symplicius - 심플리치우스라고 쓰지 않음.), 사도 베드로(Petrus - 페트로, 페트루스, 피터 등으로 쓰지 않음.)
- 러시아 어휘
- 러시아 문화권과 관련된 인명 및 지명은 모두 키릴 문자를 이용하여 러시아어로 표기한다.
- 등장하는 러시아어는 모두 1918년 볼셰비키의 문자 개혁 이후에 채택된 정서법에 따른다.
- 예) 표도르(Фёдор), 모스크바(Москва)
- 기타 외국어 어휘
- 비잔티움 제국과 관련되지 않으면서 라틴어로 쓰이지 않는 인명은 그 사람의 출생지와 주요 활동지를 근거로 하여 해당 언어로 표기한다.
- 비잔티움 제국과 관련되지 않는 지명은 21세기 현재 그곳을 실효 지배하고 있는 국가의 언어로 표기한다. 단, 다양한 언어로 표기가 가능하고 오히려 이해에 더 도움이 될 때에는 병기할 수 있다.
- 해당 어휘의 발음 표기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른다.
- 샤를마뉴(Charlemagne - 카롤루스, 찰스, 카를 등으로 쓰지 않음.), 크룸(Крум), 콘스탄츠(Konstanz - Constance로 쓰지 않음.)
성직 표현에 관한 문제
- 성직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교황(pope)
- 총대주교(patriarch)
- 총대주교대리(exarch)
- 수도대주교(metropolitan)
- 대주교(archbishop)
- 주교(bishop)
- 수석사제(archpriest/protopresbyter/protopope)
- 사제(priest)
- 부제/보제(deacon)
- 대부제/대보제(archdeacon)
- 차부제/부보제(subdeacon)
- 대수도원장(Abbot)
- 대수도사제(archimandrite)
-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제(副祭)와 동방 정교회의 보제(補祭)는 동일한 직책이다.
- 총대주교의 이름 뒤 괄호 안 연도는 재위 기간을 의미한다. 재위가 여러번 있었을 때에는 ,로 임기를 구분한다.
- 예) 다마소 1세(Damasus I: 366-384), 포티오스 1세(Φώτιος Α': 858-867, 877-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