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F's Laboratory

go to the main page

웹사이트 소개

Introduction of the website

fluorF 소개

Introduction of fluorF

새로운 소식

News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Articles

사진첩

Album

방명록

Guestbook

facebook_fluorF twitter_fluorF youtube_fluorF linkedin_fluorF pinterest_fluorF

Articles

잡설노트

Notes

글 수 188
번호
제목
글쓴이
168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fluorF
112367   2021-12-17
요즘 후보의 아내, 아들을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음에 따라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는 말로 후보들을 비판하는 사례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 말이 등장하는 사서삼경의 "대학(大學)" 구절을 보면 아래와 같다: 物格...  
167 지식의 저주, 그리고 꼰대질
fluorF
97199   2021-12-15
'지식의 저주(curse of knowledge)'라는 말이 있다. 위키백과의 친절한 설명에 따르면, 지식의 저주란 어떤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추측하여 ...  
166 아인슈타이늄의 착화합물, 혹은 상추쌈을 바라보다가 image
fluorF
96121   2021-12-09
미국화학회(ACS)에서 발간하는 『C&EN』이라는 잡지에서 '올해의 분자'를 선정하는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아래 첨부된, 이 복잡하게 생긴 후보는 올해 2월 『네이처(Nature)』에서 소개된 착화합물인데 (Nature 2021, 590, 85...  
165 정체불명의 단어, 담지. 2
fluorF
119461   2021-11-17
연구 발표 중에 간혹 들리는 말 중 '담지'라는 말이 있다. 사람들이 보통 어떤 대상을 표면 혹은 내부에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것 같은데, 예를 들면 - 촉매 입자를 어딘가에 도입시킨다고 할 때 '담지시킨다'라고 ...  
164 요소수 대란을 바라보며
fluorF
110130   2021-11-09
2021년 말, 대한민국은 요소수(尿素水) 때문에 다들 그야말로 난리법석이다. 요소수는 말 그대로 요소(尿素, urea)를 물에 녹인 수용액인데,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요소는 소변(尿)의 구성 성분(素)이다. 이 요소라는 분자는 유기화...  
163 AESPA의 <Savage>
fluorF
113531   2021-10-13
워낙 멤버들이 다 준수한 실력을 가지고 있으니 그러려니 싶지만 〈Savage〉는 듣는 귀가 즐거운 노래라고 생각했다. 다양한 느낌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는데, 하나하나 밟아나가면서 듣는 재미라고 해야 하나. "Get me get me...  
162 백신의 공포 속에서 광우병 소동을 추억하다
fluorF
113765   2021-10-08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몸소 영접한 뒤에 얀센(Janssen) 백신까지 접종해서 '수퍼맨' 소리를 듣는 나로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는 게 더 좋다고 주변에 얘기하곤 하...  
161 [기고문/서울신문] 韓 양궁팀 로빈 후드 화살의 과학
fluorF
115781   2021-09-14
* 아래 글은 전자신문에 기고한 글 '[ET단상]코로나 시대의 연구'의 출판을 위해 작성했던 제출본입니다. 신문에 실린 기고문은 좀 더 다듬어 자수(字數)를 줄였습니다. (https://www.etnews.com/20200512000200) 2020 도쿄올림픽에서...  
160 inflammable? flammable?
fluorF
98619   2021-09-03
요즘 난연성(難燃性, flame retardancy)과 관련된 연구 결과라던지 실험 수행이 잦아지면서 관련된 내용과 단어들을 전보다 훨씬 더 자주 접하게 되는데, 논문과 몇몇 글들을 읽다가 그동안 간과했던 사실을 하나 발견했다. 바로 ...  
159 새시대 종교의 부흥을 생각하며 2
fluorF
96527   2021-06-13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라는 프랑스 철학자는 '실존(實存)이 본질(本質)에 앞선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예를 들어 가위는 무언가를 자를 수 있도록 고안된 존재로서, 자르는 목적으로서의 '본질'이 가위라는 '실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