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F's Laboratory

go to the main page

웹사이트 소개

Introduction of the website

fluorF 소개

Introduction of fluorF

새로운 소식

News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Articles

사진첩

Album

방명록

Guestbook

facebook_fluorF twitter_fluorF youtube_fluorF linkedin_fluorF pinterest_fluorF

Articles

잡설노트

Notes

글 수 183
번호
제목
글쓴이
33 낙태죄 폐지와 20~30대 남성들의 인식 사이의 관계?
fluorF
57098   2020-12-11
난 처음에 이 논란이 아직 겁없는 한 30대 초선 의원이 감내해야 하는 통과의례같은 것인가 생각하고 별 신경을 두지 않았는데, 내막을 자세히 보니 나보다 4살 많은 이 형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생각이 무엇인지 가늠해 보다가...  
32 [기고문/전자신문] 코로나 시대의 R&D
fluorF
56664   2020-05-13
* 아래 글은 전자신문에 기고한 글 '[ET단상]코로나 시대의 연구'의 출판을 위해 작성했던 제출본입니다. 신문에 실린 기고문은 아래보다 좀 더 축약한 형태입니다. (https://www.etnews.com/20200512000200) 전쟁터가 따로 없다. ...  
31 요소수 대란을 바라보며
fluorF
55975   2021-11-09
2021년 말, 대한민국은 요소수(尿素水) 때문에 다들 그야말로 난리법석이다. 요소수는 말 그대로 요소(尿素, urea)를 물에 녹인 수용액인데,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요소는 소변(尿)의 구성 성분(素)이다. 이 요소라는 분자는 유기화...  
30 코로나19 병상 스케치 2 ㅡ 사회적 공포에 관한 관찰
fluorF
54785   2020-12-06
20일 금요일 오전 6시 51분, 익산시보건소로부터 양성 판정 결과를 전화로 전달받았을 때였다. 그야말로 머리를 얻어맞은 것 같은 놀라움이 가득했지만 삽시간에 온갖 생각이 머리에서 들끓기 시작했는데, 일단 먼저 18일 수요일에...  
29 물리학자와 화학자가 바라본 NMR 2
fluorF
54322   2022-01-20
메테인(CH₄) 분자의 결합을 설명할 때 보통 중심 탄소 원자의 s 및 p 오비탈의 혼성(hybridization)이 언급되곤 한다. 즉, 탄소 원자의 2s, 2p 오비탈 네 개가 합쳐진 뒤, 균등한 정사면체 꼭지점을 향하는 비대칭적 아령 ...  
28 논란의 중심에 선 하버드 대학 교수의 위안부 관련 논문에 대한 생각
fluorF
54272   2021-02-18
직접 경험 없이는 궁금한 것을 제대로 해소할 수 없을 것이라는 믿음 하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하버드 대학의 마크 램지어(J. Mark Ramseyer) 교수의 논문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태평양 전쟁에...  
27 개념과학(conceptual science)의 등장
fluorF
54030   2020-09-10
내가 '개념미술(conceptual art)'이라는 생소한 용어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가수이자 화가로서, 그리고 연예인으로서 유명한 조영남 씨가 2016년경 대작(代作) 논란에 휘말렸을 때의 일이었다. 당시 평론가 진중권 씨는 조영남의 ...  
26 학부생 학력 저하를 둘러싼 서로 다른 견해 2
fluorF
53668   2021-03-28
많은 사람들이 청소년층의 학업 능력이 눈에 띄게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20년 전에는 학생 학업성취도 1등인 핀란드와 2등인 대한민국을 비교하며 학생들의 생활을 대조하는 기사가 정말 많았는데, 이것도 정말 옛날 이야기이다....  
25 inflammable? flammable?
fluorF
53555   2021-09-03
요즘 난연성(難燃性, flame retardancy)과 관련된 연구 결과라던지 실험 수행이 잦아지면서 관련된 내용과 단어들을 전보다 훨씬 더 자주 접하게 되는데, 논문과 몇몇 글들을 읽다가 그동안 간과했던 사실을 하나 발견했다. 바로 ...  
24 월, 요일 이야기
fluorF
53199   2020-10-13
한국어를 비롯한 동아시아 언어에서는 '월(月)', 즉 달을 표현할 때 숫자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1월을 정월(正月)이라고도 하지만, 아무튼 1년 열두달은 모두 '숫자+월'의 명칭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셈이었다. 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