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F's Laboratory

go to the main page

웹사이트 소개

Introduction of the website

fluorF 소개

Introduction of fluorF

새로운 소식

News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Articles

사진첩

Album

방명록

Guestbook

facebook_fluorF twitter_fluorF youtube_fluorF linkedin_fluorF pinterest_fluorF

Articles

잡설노트

Notes

글 수 183
번호
제목
글쓴이
133 스팸 문자같은 단체 문자?
fluorF
108022   2010-12-11
나는 단체 문자를 자주 보내는 편이다. 왜냐하면 똑같은 공지를 여러 사람에게 알리는 데 그만큼 편리한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에 청년부 회장이 되면서 단체 문자를 보내는 횟수는 가히 기하급수로 증가하게 되었...  
132 훈트의 규칙(Hund's law)
fluorF
138223   2005-03-12
버스를 타다보면 두 사람이 앉아있을 수 있는 자리에는 늘 한 사람씩 앉아있기 마련이다. 시내버스, 좌석버스 가릴 것이 없다. 사실 놀이기구를 탈 때에도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착착착 자리가 채워지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람이...  
131 하버-보쉬 프로세스
fluorF
140298   2005-06-02
(이 글은 2005년 1학기 화학1 숙제 Essay였음.) 사람이라면 누구나 세계에 공헌할 위인이 될 꿈을 꾼다. 위인전에 나오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우리에게 대통령 혹은 유명한 음악가로서의 꿈을 갖게 된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과...  
130 소문, 그리고 호이겐스의 원리(Huygens' principle)
fluorF
241959   2005-10-08
물리학의 파동 부분에 가면 정말 수많은 용어들이 등장하지만 꼭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호이겐스의 원리'이다. 호이겐스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로 수학, 물리학, 천문학에 여러 영향을 끼친 사람이었다. 그는 정확한 진자 ...  
129 위태로운 평형
fluorF
102679   2005-10-08
오늘 자다가 생각보다 일찍 일어났길래 다시 잠을 청했다. 그런데 이미 밝아지고 있는 터라 도통 잠이 오질 않았다. 안 되겠다 싶어서 침대 옆에 있던 협탁에 있던 눈가리개를 집어 쓰고는 이불에 들어간다. 그런데 왠일인가. ...  
128 남아공의 달
fluorF
89556   2007-02-03
남아공 여행 중에 언젠가 달을 본 적이 있었다. 한국에서도 자주 봤던 그믐달이었다. 문학의 클리셰라고 할 수 있겠지만 어쨌든 그 그믐달은 꽤나 새색시의 눈썹을 닮았으며, 할머니의 굽은 허리를 보는 듯 했다. 순간 마음 한...  
127 방전을 막아라!
fluorF
87437   2007-02-20
1학년 2학기 때 수강했던 물리학 2는 '물리가 이런 것들도 다루는 학문이었지'라는 걸 새삼 깨닫게 한 과목이었다. 물리학 2가 다루는 내용은 정말 다양하다. 물론 전체적으로는 전자기학 부분을 다루지만 입자, 고체, 양자, 천...  
126 빛의 상보성(相補性)과 하나님의 성품
fluorF
89372   2007-04-03
요즘 기초현대물리 시간에 선생님께서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강조하시는 것이 바로 빛의 상보성(complementarity,相補性)이다. 빛이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우리에겐 식상한 과학 이야기가 되었을 정도로 너무나도 유...  
125 크로네커, 그리고 크로네커 델타
fluorF
106044   2007-04-28
자연계 학생이라면 한 번쯤은 꼭 써 봤을 크로네커 델타(Kronecker's delta)는 δij 이렇게 쓸 수 있다. 이 기호가 말하는 것은 밑에 index로 쓰인 i와 j가 같으면 1이 되고 다르면 0이 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일견 별 의...  
124 평형과 발전
fluorF
90374   2007-09-21
수업 시간에 다양한 이야기를 강의 삼아 하시는 무기화학 교수님의 말에 따르면 미국은 이미 높은 수준의 평형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눈에 띄는 발전이 없다 하더라도 Good이라고 한다. 그에 비해 한국은 아직 높지 않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