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참신(斬新)하다는 말은 '새롭고 산뜻하다.'라는 뜻이다. 이 한자어는 벨 참(斬)과 새 신(新)이 합쳐져 만들어진 한자인데 각 한자의 형성원리는 그야말로 극과 극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斬은 수레 차(車)와 도끼 근(斤)이 합쳐진 회의자(會意字)이다. 옛날 사람을 사형시킬 때에는 1) 목과 사지를 묶은 뒤 소나 말로 하여금 각 방향으로 달리게 해 온몸을 찢어죽이거나 [거열형(車裂刑)], 2) 잘 드는 도끼로 목을 잘랐다고 한다 [참형(斬刑)]. 이때 전자에서는 소나 말이 달리는 것이 마치 우마차와 같다 하여 수레 차(車)를, 후자에서는 목 자르는 데 쓰는 도끼로부터 도끼 근(斤)을 따 와 글자를 합친 것이 바로 벨 참(斬)이다. 따라서 이 글자는 그 자체로 사람 목숨 앗아가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新은 원래 땔감으로 쓰는 나무인 섶을 의미하는 글자로, 소리를 나타내는 매울 신(辛)과 뜻을 의미하는 도끼 근(斤)이 합쳐진 형성자(形聲字)였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辛 아래 쪽에 점 둘이 더해지면서 나무 목(木)의 형태를 지니게 되었는데 아마 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이다보니 옛 중국사람들이 자연히 이렇게 쓰는 쪽으로 기울어진 듯하다. 은근히 그런 의미에 이끌려서 글자의 형태가 변하는 것은 한자 역사에서 비일비재한 일이기에 별로 충격적인 일은 아니다. 그러다가 '새롭다'는 의미로서 이 한자 新을 빌려쓰는 경우가 생기기 시작했고, 그런 사용례가 너무 많아지다보니 결국 新은 본래 뜻에서 멀어진 '새롭다'는 의미를 가지 한자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이를 가차자(假借字)라고 한다. [한편, 졸지에 글자를 잃어버린 섶을 나타내기 위해 新 위에 식물의 의미를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초두변(艹)을 더한 섶 신(薪)이라는 새로운 글자가 생겼다.]


따라서 斬新이라는 단어는 본래의 의미대로 고쳐 쓰자면 斬薪이 되는 셈이며, 그러니 본뜻은 '새로움을 벤다'가 아니라 '섶나무를 벤다'이다. 나무줄기는 껍질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면 어두운 색깔의 물체이지만, 베었을 때 비로소 껍질 속에 감춰져있던 밝은 목질부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처럼 나무를 베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모습이 드러나기에, 이로부터 '새롭고 산뜻하다.'라는 뜻을 가진 '참신(斬新)하다'라는 표현이 생겨난 것이다.



For the sake! Of the call!

-fluo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