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orF's Laboratory

go to the main page

웹사이트 소개

Introduction of the website

fluorF 소개

Introduction of fluorF

새로운 소식

News

하루 이야기

Daily essay

Articles

사진첩

Album

방명록

Guestbook

facebook_fluorF twitter_fluorF youtube_fluorF linkedin_fluorF pinterest_fluorF

Articles

잡설노트

Notes

글 수 183
번호
제목
글쓴이
133 무키무키만만수의 '투쟁과 다이어트'
fluorF
127228   2017-03-30
무키무키만만수를 알게 된 것은 올해 초였다. 「안드로메다」라는 실로 청자(聽者)의 정신을 안드로메다로 보낼 법한 노래의 라이브 영상을 보게 된 뒤 충격을 먹어 '과연 이 인간들은 어떤 자들인가?'하는 궁금증을 품에 안고...  
132 빈지노(Beenzino)의 'Dali, Van, Picasso'와 음계 이야기 image
fluorF
269836   2016-12-15
어쩌다가 우연히 듣게 된 3년 전 이 노래에 완전히 꽂힌 결과 비록 힙합에 대해 아는 것이 없으나 매우 인상깊게 들은 곡이라 홈페이지에 이에 관한 짧은 글까지 싣게 되었다. 누구라도 이 곡을 들으면 고급지면서도 몽롱한 ...  
131 호세 무히카(José Mujica)에 관한 짧은 이야기
fluorF
135406   2016-12-02
어제 우루과이 전 대통령인 호세 무히카(José Mujica)에 관한 글들을 몇 번 보다가 이 사람이 청렴(淸廉)한 것보다는 청빈(淸貧)한 것에만 초점을 맞추는 게 아닌가 싶어서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검색중에 공자가 한 다음 ...  
130 셀카를 거의 찍지 않는다.
fluorF
138645   2016-11-18
최근에 하드 디스크로 옮긴 과거 및 현재의 사진들을 죽 훑어보니 발견한 경향이 하나 있다. 바로 셀카. 예전부터 느낀 거긴 하지만, 해가 갈수록 셀카를 거의 찍지 않는다. 내 셀카 역사는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시작한다. ...  
129 대학 순위로 알아보는 국내 연구의 질적 성장 필요성
fluorF
138167   2016-10-29
아침에 커피를 마시다가 우연히 US News & World Report 에서 발표한 대학 평가 및 순위 리스트를 보게 되었는데 올해부터는 미국 내 대학뿐 아니라 전 세계 대학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작한 모양이다. 자연스럽게 모교...  
128 최순실 씨 관련 논란에 관한 생각 5
fluorF
123845   2016-10-26
아침에 기사를 읽는데 얼굴이 붉어지고 가슴이 쿵쾅거린 것이 민망함을 감추기가 참으로 힘들었다. 대통령과 관련된 추문(醜聞)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는데 이것이 뜬소문이 아니라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그 내용 자체가...  
127 안중근을 모르는 무지가 죄? 12
fluorF
132324   2016-05-16
최근 인터넷을 가장 뜨겁게 달구었던 사건은 바로 인기 아이돌 그룹 AOA의 멤버 설현과 지민이 독립운동가 안중근의 사진을 보고 이름을 알아맞히지 못한 채 엉뚱한 일본인 이름들을 되뇌었던 것이 전파를 탄 사건이었다. 방송...  
126 개인의 정직성과 사회의 도덕성 사이의 관계
fluorF
117153   2016-04-19
올해 3월 Nature에 발표된 논문 중 하나인데, 뒤늦게 읽었지만 내용이 무척 흥미롭고 시사하는 바가 커서 우선 페이스북에 공유해둔다 (Nature 2016, 531, 496.) 노팅햄 대학의 시몬 개히터(Simon Gächter) 경제학 교수와 예일...  
125 권리, 그리고 Derecho
fluorF
115732   2016-03-26
스페인어 단어 derecho는 대표적인 다의어로, 개인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단어라고 생각한다. 이 단어의 어원은 라틴어의 directus 인데 '쭉 뻗은'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라고 한다. 영단어 direct나 straight를 생각하면 이해가...  
124 그리스도인들의 살아내는 삶
fluorF
119783   2016-06-19
한국어에는 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用言)이 있는데, 이를 보조 용언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도와드리다'라는 용언은 '돕다'라는 용언과 '드리다'라는 용언의 결합이다. 여기서 실질적인 의미...